티스토리 뷰

회사직급순서 회사 계급도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다들 점심식사는 챙겨드셨나요?


오늘은 회사직급순서 회사 계급도 알아보기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회사를 오래 다니신 분들의 경우 회사 계급에 대해서


워낙 잘아시겠지만, 사회생활을 이제 막 시작하는


사회 초년생의 경우 회사직급순서와 회사 계급도를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학창시절의 경우에는 친구들이 많다보니 상하관계보다는


평등적인 관계가 대부분일텐데요.


사회로 나와 취업을 하고, 회사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직급으로 구분이 되는 회사에 적응을 하셔야 할텐데요.


직급은 회사에 근무한 근속년수가 길수록


높아지는것이 일반적인 경우이지만, 무조건 기간에 따라서


상승이 되는 것은 아닌데요.



회사마다 계급도와 직급순서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회사가 클수록 계급이 세분화 되어 있고,


회사 규모가 소규모일수록 계급이 많지는 않은데요.


먼저 임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임원


회장-사장-부사장-전무-상무-이사


이런 순서가 일반적인 회사의 계급도 입니다.


보통 이사부터가 임원으로 속하게 되는데요.




2. 일반직


부장-차장-과장-대리-주임-사원


보통 회사에 입사를 하게 되면, 사원부터 시작을 하게 됩니다.


사원으로 시작해서 주임, 대리를 거쳐 과장으로 승진을


하게 되는 경우인데요.


부장까지는 보통 일반직원에 속하고, 이사로 승진한 이후에


임원이 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3. 생산직


생산직의 경우는 계급체계가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공장-직장-반장-조장-사원 이렇게 나뉘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인데요.


사원으로 들어가서 조장으로 승진이 되고,


반장으로 승진되는 경우가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모든 회사가 위 계급대로


나뉘는 것은 아니고, 규모나 회사 방침에 따라


계급 순서에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계급내에서도 호봉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과장 2년차, 부장 3년차 이런식인데요.


같은 계급이더라도 년차에 따라 연봉에도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보시면, 실장, 팀장, 센터장 등 직책이 있는데요.


이 경우는 실제 계급은 별도로 있고,


실장, 팀장 등은 계급이 아닌 직책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팀내에서 맡고 있는 직책이기 때문에 실제 직급과는 다릅니다.


오늘 하루도 마무리 잘하시고요.


이상으로 회사직급순서 회사 계급도 알아보기 포스팅을 마칩니다.



댓글